35Cl의 존재 비율. 35Cl (34.96885 amu) 37Cl (36.96590 amu) 35.460 amu
35Cl의 존재 비율. 35Cl (34.96885 amu) 37Cl (36.96590 amu) 35.460 amu 양성자 수가 17로 동일한 원소 35Cl (34.9…
35Cl의 존재 비율. 35Cl (34.96885 amu) 37Cl (36.96590 amu) 35.460 amu 양성자 수가 17로 동일한 원소 35Cl (34.9…
수산화 이온의 화학식을 HO^-가 아닌 OH^-로 표기하는 이유 수산화(hydroxide) 이온의 화학식이 왜 OH인가요? HO로 쓰면 안 되나요? Why is hy…
산소산 음이온 명명법. SeO4^2- SeO3^2- TeO4^2- TeO3^2- 같은 족의 원소들은 흔히 같은 일반식을 갖는 산소산을 형성하며, 음이온들도 비슷한 …
CaCl2 이온결합 화합물 설명 ------------------------ [참고] 이온결합 화합물 화학식 쓰기 [ https://ywpop.tistory.c…
NaNO3와 CaCl2는 다원자이온인가 ------------------------ ▶ NaNO3와 CaCl2는 둘 다 전기적으로 중성인 이온 결합 화합물 이다. …
분자와 화합물 비교. 화합물과 분자 비교 [참고] 원자와 분자, 원소와 화합물 [ https://ywpop.tistory.com/2984 ] ▶ 원…
네온의 평균 원자량. 네온의 동위원소 네온은 3개의 안정한 동위원소를 갖는 비활성 기체이다. 네온은 광고용 네온사인이나 기체 레이저로 사용되고 있다. 네온의 동위원소와 …
질산의 화학식과 질산칼륨의 화학식 질산의 화학식에는 H가 있는데, 왜 질산칼륨의 화학식에는 H가 없는가? [참고] 산과 산의 음이온의 명명법 [ http…
in order of increasing number of ions formed in solution Which of the following correctly lis…
A의 동위원소 63-A와 65-A의 존재비율 단, A의 평균 원자량은 63.6 원자량 = 동위원소의 평균 원자량 = Σ [ (동위원소의 질량) × (동위원소의 존재비)…
질량수 65인 구리의 중성자수 단, 구리의 원자번호 = 29 질량수 = 양성자수 + 중성자수 이고, 원자번호 = 양성자수 = 전자수 이므로, ( 참고 h…
동위 원소. 서로 다른 분자량을 갖는 물(H2O) 분자 자연에서 수소(H)의 동위 원소는 1H, 2H, 3H이 있고, 산소(O)의 16O, 17O, 18O이 있다. …
브로민의 동위 원소. 분자량이 다른 Br2 분자 자연에서 브로민(Br)의 동위 원소는 79Br과 81Br 두 가지이다. 이들 동위 원소로부터 생성되는 분자량이 다른 브…
붕소의 동위원소. 붕소의 존재비(%) 자연계에 존재하는 붕소(B)의 동위 원소는 10B와 11B 두 가지이다. 붕소의 평균 원자량이 10.8이라면 10B와 11B의 존…
total number of subatomic particles in 31P^3- The total number of subatomic particles in 31P^3- …
Ag exists naturally as two isotopes Ag exists naturally as two isotopes with AWs of 106.9051 &a…
1×10^(-3) M ZnCl2 1.75 L Cl^- mol 1×10^(-3) M ZnCl2 용액 1.75 L에 녹아있는 Cl^- 이온의 몰수는 얼마인가? (1×1…
H2X의 이온화. H2X 이온화 반응식 H2X 는 2개의 H 원자와 1개의 X 원자로 이루어진 화합물. 2H + X ( 참고 https://ywpop.tis…
구리의 화학식. Cu2 2Cu [참고] 화학식에 표시하는 숫자와 괄호의 의미 [ https://ywpop.tistory.com/2968 ] [참고] 화…
수소를 H2 산소를 O2라고 하는 이유 정확히는, 수소 원자는 H이고, 산소 원자는 O이고, 수소 분자는 H2이고, 산소 분자는 O2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