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노물질의 표면적 증가
사과를 반으로 쪼개면,
사과의 전체 표면적은 어떻게 변할까요?
> 증가한다?
> 감소한다?
> 변화없음?
10
9
8
7
6
5
4
3
2
1
증가합니다.
증가한다는 것을 말로 설명할 필요는 없겠지요.
눈에 보이니까요.
이와 같이 어떤 물질을 잘게 쪼개면,
그 물질의 전체 표면적은 증가합니다.
---------------------------------------------------
> 구의 표면적 계산 공식: S = 4πr^2
> 원의 넓이 계산 공식: S = πr^2
사과 한 개가 있습니다.
사과를 구라고 가정하면,
사과의 표면적은 구의 표면적과 같습니다.
만약 사과의 반지름이 5 cm이면,
사과의 표면적 = 4 × π × 5^2 = 314 cm^2
이제 사과를 반으로 자릅니다.
그러면 원의 넓이 2개에 해당하는 표면적이 새로 생겨납니다.
2 × (πr^2) = 2 × (π × 5^2) = 157 cm^2
---> 157 cm^2만큼 표면적 증가.
이처럼 어떤 물질을 잘게 쪼개면 쪼갤수록,
그 물질의 표면적은 더욱더 증가합니다.
[ 출처 https://www.degruyter.com/document/doi/10.1515/pac-2017-0102/html ]
---------------------------------------------------
원자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원자가전자가 화학 반응에 참여하듯이,
물질의 변화(화학 반응) 역시 물질의 가장 바깥쪽인 표면에서 가장 잘 일어납니다.
밀가루가 큰 대접에 가득 부어져 있습니다.
이 대접위에 성냥불을 던지면 불이 붙지 않습니다.
그러나 밀가루를 공중에 흩뿌린 순간 성냥불을 던지면 불이 확 붙습니다.
( 밀가루 폭발, 분진 폭발, 먼지 폭발, 분체 폭발 )
( 위기탈출 넘버원 분진 폭발 )
이처럼 물질을 잘게 쪼개어서 나노크기의 물질로 만들면,
예를 들어, 금속인 금, 은, 백금 등을 나노입자로 만들면,
증가된 표면적과 빛의 파장보다 작은 크기로 인해서
물리적, 화학적, 전기적, 광학적 특성 등이 변하며,
이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나노입자가 응용되고 있습니다.
[ 관련 글 https://ywpop.tistory.com/2630 ] 나노입자 (Nanoparticles)
[키워드] 표면적 기준, 표면적 증가 기준, 나노입자 기준, 나노물질 기준
YOU MIGHT LIKE
모두 보기Aluminum atomic radius 143 pm cubic closest packed structure density
분자량이 58800인 polypropylene의 중합도
Fe atomic radius 124 pm edge length (pm) unit cell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