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합물 수용액이 산성인지 염기성인지 중성인지 구분

화합물 수용액이 산성인지 염기성인지 중성인지 구분



다음 보기의 화합물을 물에 녹였을 때

수용액이 띠는 액성이

산성인지, 염기성인지, 중성인지 구분하시오.

<보기>

NaCl

NH4Cl

KCN

(NH4)2SO4

MgCl2

KNO3

CH3COONH4

Na2CO3



[참고] 산 염기 구분. 강산 약산 구분. 강염기 약염기 구분

[ https://ywpop.blogspot.com/2023/10/blog-post_21.html ]


[참고] 산성염 염기성염 중성염

[ https://ywpop.tistory.com/4300 ]



MgCl2와 CH3COONH4가 약간 까다롭고,

나머지는 위 2개의 글을 이해하고 있다면,

아주 간단히 구분할 수 있다.



NaCl

> Na^+는 강염기인 NaOH의 양이온

> Cl^-는 강산인 HCl의 음이온

---> NaCl은 중성염



NH4Cl

> NH4^+는 약염기인 NH3의 짝산

> Cl^-는 강산인 HCl의 음이온

---> NH4Cl은 산성염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024 )



KCN

> K^+는 강염기인 KOH의 양이온

> CN^-는 약산인 HCN의 짝염기

---> KCN은 염기성염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0009 )



(NH4)2SO4

> NH4^+는 약염기인 NH3의 짝산

> SO4^2-는 강산인 H2SO4의 음이온

---> (NH4)2SO4는 산성염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5176 )



MgCl2

> MgCl2의 화학은 고급화학에 속한다.

> Mg^2+는 약염기인 Mg(OH)2의 양이온

( Mg(OH)2는 난용성염 )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0085 )

> Cl^-는 강산인 HCl의 음이온

---> MgCl2는 (아주 약한) 산성염


[참고] 크기가 작고 전하가 큰 금속 양이온과 물의 가수분해 반응

[ https://ywpop.tistory.com/3043 ]

---> Mg^2+는 여기에도 해당된다.



KNO3

> K^+는 강염기인 KOH의 양이온

> NO3^-는 강산인 HNO3의 음이온

---> KNO3는 중성염



CH3COONH4

> CH3COO^-는 약산인 CH3COOH의 짝염기

> NH4^+는 약염기인 NH3의 짝산

---> CH3COONH4는 중성염으로 간주

---> 약산의 Ka 값과 약염기의 Kb 값이 주어지면,

계산을 통해 산성염, 염기성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233 )

( 참고: NH4CN https://ywpop.tistory.com/4299 )



Na2CO3

> Na^+는 강염기인 NaCl의 양이온

> CO3^2-는 약산인 H2CO3의 짝염기

---> Na2CO3는 염기성염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019 )




[키워드] NaCl NH4Cl KCN (NH4)2SO4 MgCl2 KNO3 CH3COONH4 Na2CO3 기준



Post a Comment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