ΔH 계산. 2C2H6(g) + 7O2(g) → 4CO2(g) + 6H2O(g)

ΔH 계산. 2C2H6(g) + 7O2(g) → 4CO2(g) + 6H2O(g)



[참고] 반응 엔탈피를 계산하는 2가지 방법

[ https://ywpop.tistory.com/13107 ]




a) 결합 엔탈피로 반응 엔탈피 계산

---> ΔH_rxn = –1423 kJ/mol

( 참고 https://ywpop.tistory.com/16233 )



b) 생성 엔탈피로 반응 엔탈피 계산

---> ΔH_rxn = –1559.81 kJ/mol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3888 )



c) a)와 b)의 반응 엔탈피 값이 차이나는 이유

a) 계산에 사용된 결합 엔탈피는

실제값(exact value)이 아닌 평균값이기 때문이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558 )


이 때문에 평균 결합 엔탈피 값으로 계산한 반응 엔탈피 값과

표준 생성 엔탈피 값으로 계산한 반응 엔탈피 값은

약간 차이가 발생한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2559 )




[키워드] C2H6의 연소열 계산 기준, 에테인의 연소열 계산 기준, 에탄의 연소열 계산 기준, C2H6의 연소열 기준, 에테인의 연소열 기준, 에탄의 연소열 기준, 2C2H6(g) + 7O2(g) → 4CO2(g) + 6H2O(g) dic, 차이나는 이유 기준



Post a Comment

다음 이전

https://ywpop.blogspot.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