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3COOH(식초) 10 mL를 0.5 M NaOH로 적정 시 당량점

CH3COOH(식초) 10 mL를 0.5 M NaOH로 적정 시 당량점



CH3COOH(식초) 10 mL에 증류수 40 mL를 넣고

0.5 M NaOH로 적정했을 때 이론적인 당량점



> 실험에 사용한 식초의 총산도 = 7% 라고 가정한다.

---> 즉, 식초는 7% 아세트산 수용액이라 가정한다.

> 식초의 밀도 = 1.01 g/mL 라고 가정한다.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176 )


식초 정량 분석



7% 아세트산 수용액의 몰농도를 계산하면,

( 단, CH3COOH의 몰질량 = 60.05 g/mol )


몰농도 = (wt% / 몰질량) × 밀도 × 10

( 참고 https://ywpop.tistory.com/4241 )


= (7 / 60.05) × 1.01 × 10

= 1.18 M

---> 즉, 7% 식초의 몰농도는 1.18 M이다.



CH3COOH(식초) 10 mL 속에 들어있는

CH3COOH의 몰수

= (1.18 mol/L) (10/1000 L)

= 0.0118 mol

( 참고 https://ywpop.tistory.com/7787 )


---> 여기에 증류수를 40 mL 가하든,

100 mL 가하든, CH3COOH의 몰수는 변함없다.



산-염기 중화 반응식

CH3COOH + NaOH → CH3COONa + H2O


CH3COOH : NaOH = 1 : 1 계수비(= 몰수비) 이므로,

0.0118 mol CH3COOH 중화에 필요한

NaOH의 몰수 = 0.0118 mol



0.0118 mol NaOH를 포함하는

0.5 M NaOH 용액의 부피

= 0.0118 mol / (0.5 mol/L)

= 0.0236 L

= 23.6 mL



답: 23.6 mL




[키워드] 식초 정량 분석 기준, 식초 정량 기준, CH3COOH + NaOH 중화 기준, CH3COOH + NaOH 반응 기준



Post a Comment

다음 이전

https://ywpop.blogspot.com